노코드 툴

노코드 툴을 활용한 현지 리소스 큐레이션 블로그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전략

sweetandsimple 2025. 7. 23. 06:52

디지털 노마드나 장기 체류자를 위한 정보는 점점 더 세분화되고 있다.
단순히 “발리에 가면 어디가 좋아요?”라는 질문이 아니라,
“치앙마이에서 100Mbps 이상의 인터넷 속도를 가진 조용한 카페 리스트”나
“리스본의 1개월 이상 렌트 가능한 저예산 숙소 추천”처럼,
정제되고 체계적인 로컬 리소스 정보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문제는 이런 정보들이 대부분 커뮤니티 댓글, SNS 게시물, 개인 블로그에 흩어져 있다는 점이다.
검색은 어렵고, 업데이트는 불규칙하며, 개인의 경험에 의존한 정보는 객관성이 떨어지기도 한다.

 

노코드 툴 기반 로컬 큐레이션 블로그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전략


바로 이 지점에서, 신뢰할 수 있는 로컬 큐레이션 플랫폼의 필요성이 등장한다.

이제는 코딩 없이도 누구나 노코드 툴을 활용해
현지 리소스를 구조적으로 정리하고 공유하는 콘텐츠 플랫폼을 만들 수 있다.
Airtable, Notion, Softr, Tally, Make 등 다양한 노코드 툴을 조합하면
단순 블로그를 넘어서 필터링 가능한 정보베이스, 사용자 제보 수집 기능, 자동화된 콘텐츠 발행 구조까지 구축이 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그 실전적인 흐름을 하나씩 소개한다.

 

노코드 툴 Airtable과 Softr를 활용한 리소스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필터링 시스템 만들기

현지 정보를 단순 나열하는 수준을 넘어서
정확하게 분류하고 검색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성하려면
Airtable과 Softr의 조합이 가장 효과적이다.

Airtable은 엑셀처럼 쉽지만, 데이터베이스로 작동하는 노코드 툴로,
지역명, 카테고리, 이용 가능 시간, 가격대, 특이사항 등을 필드별로 정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리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의 테이블을 만들 수 있다:

 

장소명 | 위치 | 카테고리(카페/헬스장/병원 등) | 운영 시간 | Wi-Fi 속도 | 한 줄 후기 | 평점

 

이 Airtable 베이스를 Softr와 연동하면,
사용자가 지도 보기 / 리스트 보기 / 가격대 필터 / Wi-Fi 속도 정렬 등을
웹사이트 상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또한, Softr는 디자인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해
Airtable 데이터가 마치 고급 블로그 플랫폼처럼 보이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런 구조를 통해 운영자는 데이터만 Airtable에서 관리하면 되고,
방문자는 빠르고 신뢰도 높은 현지 정보 탐색 경험을 누릴 수 있다.

 

노코드 툴 Notion 기반 콘텐츠 큐레이션 블로그와 하이브리드 구조 구성하기

보다 콘텐츠 중심의 큐레이션, 즉 사용자의 경험 기반 후기, 비교 글, Q&A를 아카이빙하려면
Notion이 가장 적합한 툴이다.
Notion은 데이터베이스와 문서가 결합된 형태로,
글쓰기, 분류, 내부 링크 연결, 팀 협업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콘텐츠 구조가 가능하다:

 

2025년 기준, 리스본에서 가장 조용한 코워킹 스페이스 TOP 5

치앙마이 공항 근처 숙소 비교 가이드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로밍 요금제 실사용 후기 모음

각 도시별 평균 숙소 요금 정리 표

 

이 Notion 콘텐츠를 Softr에 링크로 삽입하거나
Airtable과 함께 하이브리드 플랫폼으로 구성하면
데이터 기반 + 블로그 콘텐츠가 어우러진 풍부한 큐레이션 시스템이 완성된다.

또한 Notion의 템플릿 기능을 활용하면
기여자가 직접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는 협업 구조도 가능하다.
예: “내가 다녀온 카페 후기 템플릿”을 Notion으로 만들어 누구나 채워 넣도록 제공

 

노코드 툴 Tally와 Make로 사용자 제보와 자동 콘텐츠 반영 시스템 만들기

현지 정보를 운영자 혼자 모으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커뮤니티 기반으로 제보를 받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플랫폼의 지속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핵심 전략이다.

 

Tally로 사용자 제보 폼을 만든다 / 예: “당신이 추천하는 코워킹 스페이스를 알려주세요”

제보 항목에는 장소명, 위치, 가격, 이용 후기, 사진 첨부 등을 포함

Make를 활용해 Tally → Airtable 자동 연동 설정 → 제보된 정보가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됨

특정 조건(예: 사진 포함, 주소 정확도 등)을 기준으로 운영자가 승인하면 Softr 웹사이트에 자동 게시

 

이런 자동화된 흐름은 콘텐츠 기여 문턱을 낮추고,
플랫폼을 커뮤니티 참여형 리소스 허브로 성장시키는 기반이 된다.
또한 Make를 통해 제보자에게 감사 메일 또는 리워드 쿠폰을 자동 발송하는 흐름도 구축 가능하다.

 

뉴스레터, 검색 최적화, 수익화까지 고려한 플랫폼 확장 전략

큐레이션 플랫폼이 일정 수준 이상의 콘텐츠를 갖추게 되면,
이후에는 검색 유입, 구독자 기반 유지, 수익 모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뉴스레터 자동 발행 구조

Airtable이나 Notion에서 새 콘텐츠가 업로드되면 Make를 활용해 MailerLite로 자동 뉴스레터 전송

“이번 주 발리 카페 추천 Top 3” 같은 주간 콘텐츠 구성 가능

 

검색 최적화(SEO)

Softr나 Webflow를 사용할 경우 SEO 메타태그, 제목, 설명, 이미지 구조를 정리해
Google 유입을 노린 콘텐츠 구조 설계 가능

 

수익화 구조

Gumroad를 활용해 리소스 PDF 가이드북 판매

커뮤니티 멤버 전용 콘텐츠를 Memberstack으로 잠금

Notion 템플릿 마켓 연동 또는 Ko-fi 후원 연동

 

이러한 시스템은 단순 정보 제공을 넘어,
로컬 리소스 큐레이션을 하나의 콘텐츠 비즈니스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모든 흐름은 코딩 없이, 노코드 툴로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